고난주간 묵상 토) 마 27:62-66 무덤을 지킨 사람들
무덤을 지킨 사람들, 살아날 진리를 두려워하다
- 마 27:62 그 이튿날은 준비일 다음 날이라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이 함께 빌라도에게 모여 이르되
- 마 27:63 주여 저 속이던 자가 살아 있을 때에 말하되 내가 사흘 후에 다시 살아나리라 한 것을 우리가 기억하노니
- 마 27:64 그러므로 명령하여 그 무덤을 사흘까지 굳게 지키게 하소서 그의 제자들이 와서 시체를 도둑질하여 가고 백성에게 말하되 그가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났다 하면 후의 속임이 전보다 더 클까 하나이다 하니
- 마 27:65 빌라도가 이르되 너희에게 경비병이 있으니 가서 힘대로 굳게 지키라 하거늘
- 마 27:66 그들이 경비병과 함께 가서 돌을 인봉하고 무덤을 굳게 지키니라
십자가 위에서 모든 것을 내어주신 예수님의 죽음 이후, 세상은 고요해진 듯 보였습니다. 그러나 그 고요함은 잠잠한 안식이 아니라, 또 다른 긴장과 두려움으로 가득 찬 시간이었습니다. 마태복음 27장 62절부터 66절은 예수님의 시신이 묻힌 그 무덤을 지키려는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의 모습을 통해, 인간의 불신과 두려움이 어떻게 하나님의 계획을 거슬러보려 했는지를 보여줍니다. 부활을 막으려는 그들의 시도는 역설적으로 하나님의 역사를 더욱 분명히 드러내는 장면이 됩니다.
십자가는 끝이 아니라는 불안
"이튿날 곧 예비일 다음 날에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이 함께 빌라도에게 모여 이르되" (마 27:62-63)
예수님께서 돌아가신 다음 날, 곧 안식일입니다. 유대인들에게는 아무 일도 하지 않는 거룩한 날입니다. 하지만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은 이 날을 조용히 보내지 못합니다. 그들은 빌라도에게 모여 한 가지 요청을 합니다. 바로 예수님의 무덤을 지키게 해 달라는 것입니다.
그들이 빌라도를 찾은 이유는 단 하나, 불안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공생애 내내 "내가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나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요 2:19, 마 16:21 등). 그 말씀을 들은 종교 지도자들은 단순한 허풍으로 치부할 수도 있었지만, 그 말씀의 무게를 결코 가볍게 여기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오히려 그 말씀이 이루어질까 두려웠던 것입니다.
"그가 살아 있을 때에 말하던 바, 내가 사흘 후에 다시 살아나리라 하던 것을 우리가 기억하노니." (마 27:63) 예수님의 제자들은 아직 그 말씀을 기억하지 못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를 죽이려 했던 자들은 그 말씀을 정확히 기억하고 있었습니다. 이 말은 예수님의 말씀이 단지 지나가는 선언이 아니라, 역사에 실제로 영향을 끼치는 능력 있는 말씀임을 그들도 알았다는 뜻입니다.
불신앙은 하나님의 말씀을 믿지 않는 것이 아니라, 믿고도 거부하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의 말씀을 믿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그것이 이루어질까 두려워했기에 무덤을 지키려 했습니다. 그들의 불안은 단지 시신 도난을 막기 위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진리를 억누르려 했고, 부활을 봉인하려 했던 것입니다.
인간의 경계, 하나님의 역사를 막을 수 없다
"그러므로 명령하여 그 무덤을 사흘까지 굳게 지키게 하소서… 이에 그들이 군인들과 함께 가서 돌을 인봉하고 무덤을 굳게 지키니라." (마 27:64-66)
그들은 빌라도에게 요구합니다. 로마 군인을 보내어 무덤을 지키게 하고, 무덤의 입구를 ‘인봉’해 달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인봉하다’는 표현은 헬라어 "σφραγίζω"(sphragizō)로, 봉인하고 권위의 인장을 찍는 행위입니다. 이는 왕의 인장이며, 이를 훼손하는 자는 곧 제국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예수님의 무덤에 로마의 권위를 덧씌워 그것이 열리지 않도록 막았습니다.
하지만 무덤의 돌은 사람이 막는다고 닫히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생명의 능력은 인간의 제도와 경계로는 결코 가둘 수 없습니다. 그들은 사흘 동안만이라도 지키고자 했습니다. 그 사흘은 예수님의 부활을 막고, 진리를 침묵시키기 위한 시간이었습니다. 그러나 바로 그 사흘 뒤에 하나님은 죽음을 깨뜨리고 생명을 일으키시는 위대한 구속의 역사를 이루십니다.
세상은 언제나 진리를 가두려 합니다. 복음을 무덤에 묻고, 부활의 소망을 봉인하려 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결코 결박당하지 않습니다. 바울도 디모데후서 2장 9절에서 고백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매이지 아니하리라.” 돌을 인봉하고 군인을 세운다고 해서 하나님의 아들이 다시 살아나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오히려 그들이 시도했던 모든 방책은 부활이 진짜임을 증명하는 증거가 됩니다. 만약 그들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면, 누군가 시신을 훔쳐갔다고 주장할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로마의 군사력과 인봉된 무덤은 인간이 부활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는 증거이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이 살아나셨다는 사실은 더욱 명백하게 드러납니다.
하나님의 침묵 속에 준비된 승리
본문은 어쩌면 무덤 앞에서 벌어지는 인간들의 어리석은 움직임처럼 보입니다. 예수님은 이미 돌아가셨고, 제자들은 흩어졌으며, 무덤은 봉인되었습니다. 겉으로 보면 하나님의 계획은 멈춘 듯 보이고, 침묵하시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러나 그 침묵은 실패가 아니라 준비입니다.
하나님은 때로 침묵 속에서 일하십니다. 예수님의 무덤이 닫힌 그 사흘 동안, 하나님은 역사의 가장 깊은 비밀을 준비하고 계셨습니다. 그분은 죽음의 권세를 깨뜨리고, 생명의 새 길을 여는 부활의 순간을 기다리고 계셨습니다. 인간은 무덤을 지키지만, 하나님은 생명을 일으키십니다.
우리의 삶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상황은 닫힌 무덤처럼 보이고, 모든 길이 막힌 듯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이 침묵하는 듯하고, 기도에도 응답이 없는 것처럼 보일 때, 우리는 종종 두려움에 사로잡힙니다. 그러나 기억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침묵은 무능함이 아니라, 더 크고 놀라운 계획을 위한 준비의 시간입니다. 무덤은 결코 끝이 아닙니다.
결론
마태복음 27장 62절부터 66절까지는 예수님의 부활을 막기 위한 인간의 마지막 저항을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그들은 무덤을 봉인하고 군인을 세워 지키며, 예수님의 말씀을 거짓으로 만들려 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시도는 하나님의 뜻을 결코 막을 수 없었습니다. 오히려 그들의 불신앙은 하나님의 구속 역사를 더 분명히 증언하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고난주간을 지나며 우리는 이 본문 앞에 서야 합니다. 우리 마음에도 무덤처럼 닫힌 부분이 있지는 않은지, 하나님의 말씀을 의심하고 스스로 봉인해버린 신앙의 영역은 없는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주님은 침묵하시는 것 같아도, 그 무덤 너머에서 부활의 아침을 준비하고 계십니다.
세상은 지금도 복음을 억누르려 하고, 교회를 조롱하며, 진리를 왜곡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결코 매이지 않습니다. 주님의 부활은 막을 수 없습니다. 무덤을 지킨 자들은 부활을 두려워했지만, 우리는 부활을 소망해야 합니다. 그 승리는 이미 시작되었고, 우리는 그 은혜 안에 살아가는 자들입니다. 닫힌 돌문 앞에서도 믿음으로 기다리는 자 되기를, 부활의 아침을 확신하며 오늘을 살아가는 주님의 백성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성경해석 > 짧은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방 설교] 부부 싸움이 잦은 가정 (0) | 2025.04.01 |
---|---|
[심방설교] 개업 축복 설교문 “주께서 세우신 집” (0) | 2025.04.01 |
고난주간 묵상 일) 마 28:1-10 그가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셨고 (0) | 2025.03.27 |
고난주간 묵상 금) 마 27:27-31 조롱 받으시는 예수님 (0) | 2025.03.27 |
고난주간 묵상 금) 마 26:69-75 베드로의 부인 (0) | 2025.03.27 |
고난주간 묵상 목) 요 13:1-17 세족식 (0) | 2025.03.27 |
고난주간 묵상 목) 마 26:20-29 마지막 만찬 (0) | 2025.03.27 |
고난주간 묵상 목) 마 26:17-19 유월절 준비 (0) | 2025.03.27 |
댓글